특수교육기본교육과정론(사회·과학)
(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Social Studies·Science) )
|
특수교육기본교육과정 사회와 과학을 이해하고, 장애학생의 특성 및 정도에 따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적용한다.
|
보완대체의사소통지원
(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
|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과정, 평가, 중재에 대해 알아보고,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의 구체적인 기법과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의 내용을 학습한다.
|
의사소통장애학생교육
( Education for Students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
|
언어발달과 발성-발어기관의 원리를 탐색하고, 의사소통장애학생의 언어적 특성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장애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을 습득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하는 역량을 기른다.
|
중도·중복장애학생교육
(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육적 원리를 탐구한다.
|
직업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in Vocational Education )
|
직업교과의 성격을 이해하고 관련 교재교구를 분석하여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고 모의수업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직업 교과지도의 실제 경험을 쌓고 교수적 실천 능력을 함양한다.
|
청각장애학생교육
( Educat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
|
청각장애 학생의 심리·행동적 특성을 이해하고,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적절한 교수 전략을 습득한다.
|
특수교육대상학생진단및평가
( Assessment and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
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진단과 평가에 이용되는 검사도구의 특성 및 사용법에 대해 학습하여, 진단평가에 적용한다.
|
학습장애학생교육
(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
|
학습장애학생의 정의와 원인 및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적절한 교수 전략을 습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