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정보

1학년

중등특수교육과 전공 교과목 소개입니다.

1학년 과목명, 소개 정보표
과목명 소개
특수아동이해 ( Understand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영유아기 발달 지연을 보이는 다양한 특수아동에 대한 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된 지도 방법을 습득하는 교과목이다. 따라서 특수아동이해에 필요한 기초 지식과 내용을 학습하여 특수아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태도를 형성하고 바람직한 교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 원인과 예방, 발달 지체의 개념, 장애 위험군 아동 등 특수아동에 대한 이해와 정상적 발달 특성에 대비되는 운동, 인지, 사회정서와 의사소통, 사회성 등의 발달 영역별 지체와 교사의 지원에 대한 내용을 탐색한다.
미래사회와특수교육 ( Future Society and Special Education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 에듀테크 등을 활용하여 미래사회와 미래의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공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교과목이다. 또한 변화하는 사회와 교육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사 역량을 키우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학생들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위한 에듀테크, AI 기반의 언어 및 의사소통 지원, AI 기반의 행동 기능평가 및 중재 등의 내용을 탐색한다.
개별화교육프로그램 (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 행동장애 아동이 보이는 다양한 행동문제를 지원할 수 있는 개별화교육계획 및 행동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단계와 절차, 프로그램 작성 방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시각장애학생교육 ( Educa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 시각장애교육 전반에 대하여 학습한다. 시각손상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시각손상의 원인과 예방, 시각장애 관련 여러 정의들, 시각장애 교육의 발전과 역사, 시각장애교육 전달체계, 시각손상학습자 사정, 시각장애 영유아 및 중복장애아 교육, 그리고 시각장애 관련 진로교육과 특수교육재활공학 등의 주제를 학습한다.
아동관찰및행동연구 ( Child Observation and Behavioral Research ) 보육현장에서 영유아를 관찰하고, 영유 아의 행동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이론습득과 관찰?기록의 실습을 통해 실제 적용 역량을 키우기 위한 과목이다. 영유아에게 적합한 관찰법과 연구방법을 학습하고, 현장에서 보육의 실제를 직접 경험함으로서 보육교사의 관찰자 및 연구자로서 역할을 탐구하고 보육일지 기록과 같은 관찰 기 초 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보육교사는 어린이집에서 직접 영유아의 행동을 관찰하여 기록하고 해석하여 본다. 아울러 관찰기록과 함께 수집된 다양한 자료가 어린이 집에서 어떻게 보육과정 운영과 상담에 활용되는지 다양한 사례를 확인한다.
자폐장애교육 ( Educa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 자폐성 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특성과 교육적 필요를 이해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교육적 접근법과 지원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며, 자폐성 장애 학생이 학습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이 강좌는 다양한 교수 전략과 지원 기술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적장애학생교육 ( Education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정신지체아의 유형 및 특성을 이해하고 정확한 진단과 평가를 할 수 있으며, 개별화된 교육프로그램 작성을 위한 기본지식과 기술을 탐색한다.
특수교육학 (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 장애유형별 특성 및 지도 방안에 대해 강의하여 장애 아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장애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애아 뿐 아니라 다양한 발달 특성을 보이는 아동에 대한 지원 방안을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