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교과기초논술
( Basic Writing on the subjects of Chinese classics )
|
예비 교사인 사범대 학생들이 교육과 관련된 주제에 심층적으로 접근하여 자신의 관점과 태도를 분명히 밝히는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고, 교육 현장에서 논술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
경서강독
(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
|
동양 정신의 기본을 이루는 經書 가운데 『大學』. 講讀을 통하여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른다. 『大學』은 삼강령, 팔조목을 중심으로 하여 인식론 및 심성론, 그리고 개인의 수양으로부터 치국평천하에 이르는 것으로 내외와 본말을 겸비한 책이다.
|
한문문법
( Chinese Classics Grammar )
|
한문의 일반적이고 특수한 문장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어떤 문장에나 적용,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한문문법이 아직 이론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국문법이나 영문법에 비추어 강의한다.
|
한문학사
(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
|
한문학 도입기부터 고려 말까지를 대상으로 한국한문학의 발달 및 제반 문학 양식을 이해한다. 특히 주요 작가 작품 및 문학사 현상을 史的으로 이해하게 하되, 중국 고전에 대한 한국한문학의 독자성에 주목해 학습한다.
|
한시선독
( Reading Chinese classic Poetry )
|
한시를 선별하여 읽어 한시에 대한 기본 독해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한시 교수법을 배운다.
|
백화문선독
( Reading in selection from the works of modern chinese )
|
현대 한어 문학 작품을 읽고 해석함으로써 한문 해석과 이해의 능력을 제고하고, 고대 문언문 한문과 현대 백화문과의 소통을 도모한다.
|
서예지도법
( Method of teaching Chinese calligraphy )
|
한자의 생성과정과 서예의 역사 및 발전과정을 다루며, 서체별 특성과 변천과정을 실기와 병행하여 문자의 원류를 좀더 깊게 알 수 있고 현대 물질 문명 속에서 잊혀져가는 정서를 되살리도록 한다.
|
조선한문학사
(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Joseon Dynasty )
|
한국의 근대 한문학이라 함은 조선시대의 한문문학이라 말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거론할 수 있는 것은 고려말의 이색으로부터 이어져온 도학파의 문학과 조선중기 이후에 형성되는 사장파의 문학을 들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근대한문학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
중용강독
( Reading the confucian classics Joong-yong )
|
중용은 유가의 심학을 전수한 교재로써 천인의 관계와 도덕의 실천방안으로 사서 가운데 가장 깊이 있는 경전이다.
|
한문고사성어이해
( Introduction to Chinese instructive phrases from ancient happenings )
|
한문의 문장에는 많은 고사성어가 인용되므로 고사성어의 이해는 한문학습의 필수사항이다. 고사성어는 고대에 일어났던 사실에는 비롯되어 만들어진 간결한 어구로 많은 의미를 함축한 짧은 표현들이다. 고사의 원전을 통해서 고사성어가 발생한 실상을 살피고, 많은 고사성어를 습득하여 한문실력을 배양한다.
|